축농증, 부비동염 j01, j32 (급성, 만성)
축농증, 부비동염 j01, j32 (급성, 만성)
원인 : 급성 부비동염에 의해 주로 발생되며 상기도 감염, 알러지 비염, 아데노이드 비대에 의한
콧물 배출장애 등이 원이이 될 수 있습니다.
정의 : 자연적인 배액체계가 막히면서 부비동염의 염증과 감염 유발한다.
비인두와 연결이 되어있으나, 폐쇄에 의해 비인두의 정산균 주가 부비동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유발한다.
증상 : ① 급성 (3주 미만) - 화농성 콧물, 안면부 압력감, 투동, 열 (성인 50%에서 발생)
② 만성 (3개월 이상 지속) - 상기 증상 유사하나 심한 비울혈과 화농성 콧물
진단 : 비경검사와 부비동 X-선 검사를 시행 약물치료에 효과가 없거나 재발하는 경우, 수술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는 CT검사 시행
치료 : ① 급성 - 항생제, 점막수축제, 부비동 세척 등
② 만성 - 8~12주 이상의 항생제, 항히스타민제, 항울혈제, 스테로이드 비강 분무제, 경구용 스테로이드 및
내시경을 이용한 부비동 수술 등 시행
합병증 :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- 용종 형성으로 호흡기관의 후각기관과 두개내 합병증 초래 부비동염의 합병증으로 점액종,
농종 뿐 아니라 만성으로의 진행, 천공, 농양, 수막염이 있음.
* 축농증 / 부비동염 - 보험가입 인수기준
- 보완서류 : 수술시 조직검사결과지, 치료 당시 의무기록지